와인 마스터로 가는 첫걸음! 꼭 알아야 할 와인 용어 10가지

반응형

 

저는 와인을 접하면서, 사실 와인 자체를 즐기고는 싶은데 용어들이 너무 어렵게 다가왔는데요.

하지만 필수적인 용어를 알고 난 후에는 아주 즐겁게 즐기고 있습니다.

 

"바디가 풍부하고 탄닌이 적절한 와인"이라는 표현을 보면 어떤가요? 벌써 머리가 아프신가요?

걱정 마세요! 오늘은 와인을 더 깊이 이해하고 즐기기 위한 필수 용어 10가지를 알기 쉽게 설명해드리려고 합니다.

 

막상 알고 보면 와인 용어는 그렇게 어렵지 않아요. 우리가 매일 마시는 물, 차, 주스처럼 와인도 그저 우리 삶을 더 풍요롭게 만드는 음료일 뿐이니까요.

 

이번 글을 통해 와인 용어들과 친숙해지다 보면, 곧 여러분도 와인을 더 자신있게 고르고 즐길 수 있을 거예요.

 

그럼 지금부터 와인의 세계로 함께 떠나볼까요?

 

 

1. 바디(Body)

(이미지 출처 : https://www.oaks.deliver)

  - 설명: 와인의 무게감이나 질감을 표현하는 용어, 라이트, 미디엄, 풀 바디로 구분됩니다.

  - 예시: 쉽게 물과 우유, 요구르트의 질감 차이를 떠올려보세요. 라이트 바디는 물처럼 가볍고, 풀 바디는 요구르트처럼 묵직한 느낌입니다. 피노 누아가 대표적인 라이트 바디 와인이라면, 카베르네 소비뇽(시라)은 풀 바디의 대표주자입니다.

 

 

2. 탄닌(Tannin)

  - 설명: 레드와인에서 주로 느껴지는 떫은 맛을 내는 성분으로, 입안이 건조해지는 느낌을 줍니다.

  - 예시: 쉬운 경험 예로 진한 녹차나 홍차를 오래 우려 마셨을 때 느껴지는 떫은 맛이 바로 탄닌입니다. 카베르네 소비뇽이나 시라와 같은 진한 레드와인에서 강하게 느낄 수 있죠. 특히 탄닌이 강한 레드와인은 스테이크와 함께 마시면 탄닌이 고기의 기름기와 조화를 이뤄 더욱 맛있게 즐길 수 있습니다.

 

 

3. 빈티지(Vintage)

(이미지 출처 : https://www.jordanwinery.com)

  - 설명: 포도를 수확한 연도를 의미하며, 같은 와인이라도 빈티지에 따라 맛이 다릅니다. 직접 경험해 보면 더욱 신기한 것을 느낄 수 있답니다.

  - 예시: 2015년은 프랑스 보르도 지역의 최고 빈티지 중 하나로 꼽힙니다. 그 해의 날씨가 완벽했기 때문이죠. 마치 김장 배추가 그 해의 날씨에 따라 맛이 달라지는 것처럼, 와인도 빈티지에 따라 특별한 개성을 가집니다.

 

 

4. 테루아(Terroir)

(이미지 출처 : https://www.wineisseur.ca)

  - 설명: 포도가 자란 지역의 토양, 기후, 지형 등 환경적 요소를 총칭하는 프랑스어입니다.

  - 예시: 같은 품종의 포도라도 자란 환경에 따라 전혀 다른 와인이 됩니다. 프랑스 부르고뉴의 석회질 토양에서 자란 샤르도네와 캘리포니아의 따뜻한 기후에서 자란 샤르도네는 마치 다른 와인처럼 느껴질 수 있죠.

 

//테루아  Kick Point//

테루아에 대해 조금 더 살펴보자면, 여려 영향이 있지만 특히 중요한 3가지 요소가 있는데요.

 4-1. 지형에 따른 영향

  ▷ 산지형: 경사면은 배수가 좋고 일조량이 많아 포도가 응축된 맛을 가집니다. 또한 밤낮의 온도 차가 커서 복합적인 향을 발달시키는데 도움이 됩니다.

  ▷ 평지: 토양이 비옥하고 수분 보유력이 좋아 포도나무가 잘 자랍니다. 하지만 때로는 너무 많은 수분으로 인해 포도의 맛이 묽어질 수 있습니다.

 

 4-2. 토양의 종류와 영향

   ▷ 석회질 토양: 포도에 미네랄리티를 부여하며, 특히 샤르도네와 피노 누아 품종에 적합합니다. 부르고뉴의 유명한 와인들이 이런 토양에서 생산됩니다.

   ▷ 점토질 토양: 수분을 잘 보유하고 미네랄이 풍부해 풍성한 바디감의 와인이 만들어집니다. 보르도의 메를로가 대표적입니다.

   ▷ 자갈 토양: 배수가 좋고 열을 잘 보존하여 포도가 잘 익습니다. 카베르네 소비뇽에 특히 적합합니다.

 

 4-4. 기후의 영향

   ▷ 따뜻한 기후: 포도가 잘 익어 당도가 높고 바디감이 풍부한 와인이 됩니다.

   ▷ 서늘한 기후: 산도가 높고 알코올 도수가 낮은 와인이 생산됩니다.

 

 

5. 아로마(Aroma)

  - 설명: 와인에서 느껴지는 향을 표현하는 용어로, 과일향, 꽃향, 향신료 향 등 다양합니다.

  - 예시: 소비뇽 블랑에서는 자주 구스베리나 백리향의 아로마가 느껴지고, 시라에서는 후추향이 특징적입니다. 와인잔을 돌리면 아로마가 더 풍부하게 퍼지는데, 이는 마치 향수를 뿌렸을 때 손목을 돌리는 것과 같은 원리입니다.

 

 

6. 디캔팅(Decanting)

(이미지 출처 : https://www.greenvilleonline.com(

  - 설명: 와인을 마시기 전 공기와 접촉시켜 향과 맛을 개선하는 과정입니다.

  - 예시: 오래된 레드와인의 경우 디캔팅이 필수적입니다. 마치 오랫동안 앉아있다가 기지개를 켜는 것처럼, 와인도 공기와 만나면서 향과 맛이 깨어납니다. 보통 1-2시간 정도 디캔팅하면 와인이 최상의 컨디션을 보여줍니다.

 

//여기서 잠깐// 

많이 들어는 봤는데.. 디캔팅(Decanting)과 비슷한데, 브리딩(Breathing)은 무슨 말일까요? 두 용어 모두 와인이 공기와 접촉하게 하는 과정이지만, 목적과 방식에 중요한 차이가 있습니다.

 5-1. 디캔팅 : 와인을 디캔터라는 별도의 용기에 옮겨 담는 과정으로, 오래된 와인의 침전물을 분리하고 와인이 공기와 넓게 접촉해 향과 맛이 풍부해지도록 하는데요. 보통 1-2시간 정도 소요되며, 주로 숙성된 레드와인에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5-2. 브리딩 : 와인을 병째 오픈해서 공기와 접촉하게 하는 것으로 쉽게 말해 와인이 "숨을 쉬게" 하여 향이 열리도록 하는 것인데요. 와인의 온도를 실온에 맞추는 것을 도움주며, 보통 30-1시간 정도 소요되고 젊은 빈티지 와인에 주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쉽게 비유하여 요약하자면, 디캔팅은 와인을 '환기'하는 것이고, 브리딩은 와인을 '깨우는' 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7. 코르크(Cork)

  - 설명: 와인 병마개, 코르크의 상태로 와인의 보관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예시: 건강한 코르크는 탄력이 있고 촉촉한 상태를 유지합니다. 마치 오이의 싱싱함을 눌러보고 확인하듯, 코르크의 상태만 봐도 와인의 건강 상태를 짐작할 수 있죠. 너무 딱딱하거나 부서진 코르크는 와인이 제대로 보관되지 않았다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

 

 

8. 레그(Legs)

(이미지 출처 : https://winefolly.com/)

  - 설명: 와인잔 벽면에 형성되는 눈물방울 모양의 흐름을 말합니다.

  - 예시: 와인잔을 돌린 후 잔 벽면에 생기는 레그는 와인의 알코올 도수와 관련이 있습니다. 레그가 천천히 흐르고 굵을수록 알코올 도수가 높은 경우가 많죠. 마치 유리창에 맺히는 빗방울처럼, 와인잔의 레그도 각기 다른 모양과 속도로 흘러내립니다.

 

 

9. 산도(Acidity)

  - 설명: 와인의 신맛 정도를 나타내며, 와인의 밸런스와 신선함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 예시: 리슬링이나 샤블리와 같은 화이트 와인은 높은 산도가 특징입니다. 마치 상큼한 레몬에이드처럼 입안을 상쾌하게 만들어주죠. 적절한 산도는 와인에 생기를 불어넣고, 음식과의 페어링을 더욱 즐겁게 만듭니다.

 

 

10. 피니시(Finish)

  - 설명: 와인을 마신 후 입안에 남는 여운과 맛의 지속성을 의미합니다.

  - 예시: 좋은 와인은 긴 피니시를 자랑합니다. 한 모금 마신 후에도 30초 이상 맛이 입안에 남아있죠. 마치 좋은 향수가 오래 지속되는 것처럼, 품질 좋은 와인은 긴 여운을 남깁니다. 특히 고급 레드와인에서 이러한 특징이 두드러집니다.

 

 

이상 와인 용어 10가지를 살펴봤는데요.

일상 생활 속에서도 와인을 즐겁게 즐겨보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

와인 종류와 품종 특성! 제대로 알고 마시자! (feat. 와린이, 초보와인, 와인추천)

반응형

적포도 품종의 특성 이해하기!

 

평소 와인의 종류에 대해서 정확히 모르고 마시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저도 사실 처음 와인을 접하면서 다양한 포도 품종에 대하여 깊이 이해하지 못했었는데요.

지금은 와인의 라벨에 적혀 있는 포도 품종을 보고 와인을 선택하고 와린이 딱지를 떼어 가고 있습니다^^

 

혹시라도 와인을 처음 접하시거나, 적포도 품종에 대해서 조금 더 알아보고 싶은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하고,

부족한 부분은 추후 공부해서 업데이트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적포도 품종의 특성

 


 

시라(Syrah) / 쉬라즈(Shiraz)

 

원산지: 이란 쉬라즈 마을


프랑스 론 지방에서 주로 재배되는 품종으로 프랑스에서는 '시라'라고 불리지만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쉬라즈'라고 불립니다.

서리와 추위에 강한 품종으로 매우 짙은 색을 지니며, 타닌감이 풍부하여 육감적인 맛을 냅니다.

색이 진해 몇 잔을 마시면 치아가 검게 착색되기도 할 정도라, 낮에 마시기에는 조금 부담스러울 수 있는 품종입니다.

신선한 과일향과 민트, 스파이시한 맛이 특징이며 장기 숙성하면 후추향과 바이올렛, 블랙베리 향이 나는 와인이 됩니다.

산뜻한 신맛과 함께 감칠맛 나는 타닌의 조화가 특색있는 품종으로, 특히 첫맛이 강하여 자극적인 맛에 길들여져 있는 한국 사람들에게 매력적으로 다가오는 와인 맛을 제공합니다.

 

 

대표적인 시라/쉬라즈 와인 추천 - https://www.wine21.com/11_news/news_view.html?Idx=17765

 

와인21추천 BEST OF BEST, 시라 & 쉬라즈(Syrah & Shiraz) - 와인21닷컴

이상하다. 한 품종을 소개하는 기사 제목에 두 개의 이름이 함께 쓰였다. 시라(Syrah), 그리고 쉬라즈(Shiraz). 와인은 세계 각지에서 만들어지는 만큼, 같은 품종을 지역 별로 다르게 부르는 경우는

www.wine21.com

 


 

말백(Malbec)

 

원산지: 프랑스 보르도(Bordeaux)


껍질이 두껍고 진한 색을 띠며, 폴리페놀 성분이 많아 건강에 좋은 것으로도 유명한 품종입니다.

아르헨티나 와인의 대표 품종으로 예전에는 보르도 지역에서 많이 재배했으나 지금은 보르도에서 블렌딩 품종으로 명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말벡 품종은 특히 석회암 기반의 토양에서 재배한 말벡이 품질이 좋은데, 어둡고 단단한 타닌을 제공하여 자두와 같은 풍미를 가지며 붉은 색을 넘어 보랏빛에 가까운 와인을 만들 수 있습니다.

열정적이고 강렬한 색감과 깊고 진한 타닌감과 상반되는 부드럽고 실키한 질감이 매력적인 품종입니다.

 


 

네비올로 (Nebbiolo)


원산지: 이탈리아 피에몬테(Piemonte)


이탈리아 와인의 대표작인 바롤로와 바르바레스코를 만드는 품종입니다.

오랜 숙성을 필요로 하는 포도 품종으로 최소한 6년 이상은 숙성시켜야 제대로 맛을 냅니다.

미디엄 바디이지만 무게감이 있고, 섬세한 산도와 풍성한 풍미를 지니고 있으며 첫 맛은 체리와 자두, 두번째는 시나몬과 감초, 세번째는 담배와 가죽 풍미를 느낄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시간이 지나면서 와인의 향이 변하는데 보통 오픈 후 1시간이 지나야 갇혔던 향이 올라옵니다.

그렇기 때문에 오픈해서 바로 마시기보다는 천천히 2-3시간에 걸쳐 잔에서 바뀌는 향을 느끼면서 마시는 것이 좋습니다.

 


 

카베르네 소비뇽(Carbernet Sauvignon)


원산지: 프랑스 보르도(Bordeaux)


고급 레드와인을 제조할 때 사용하는 품종으로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보급되어 있는 레드와인 품종입니다.

'까쇼' 라는 애칭으로 불리우기도 하는 이 포도는 껍질이 두껍고 씨앗이 큽니다. 적응력과 성장력이 강해 '포도의 왕' 이라고 불리우기도 하죠. 레드 와인에서 포도의 껍질과 씨앗은 와인의 힘과 관련이 있습니다.

 

타닌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껍질과 씨는 오래 숙성시킬 수 있는 힘이 있는 와인을 만들어내는데, 까쇼는 파워풀하고 타닌이 강한 맛을 내며, 당도가 낮은 편입니다. 처음에는 떫은 맛이 강하지만 숙성이 될수록 부드러운 맛을 내며, 오래 숙성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프랑스 보르도 지방의 제 1품종으로, 주로 메를로 품종과 블렌딩하여 만들며 프랑스 메독 지역 와인의 주 품종입니다.


와인 이미지(출처 - 드링킷)

 


 

진판델(Zinfandel)

 

원산지: 이탈리아 풀리아(Puglia)


미국 캘리포니아의 주력 품종으로 대중적인 저그 와인(Jug Wine)에 주로 사용되었으나, 지금은 고급 레드와인 제조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검은 포도 껍질과 흰 즙을 갖고 있습니다. 레드와인 뿐만이 아니라 화이트와인, 로제와인, 포트와인 등 다양한 와인을 만드는 품종입니다. 진판델로 만든 레드와인은 알코올 도수가 높은 편입니다.

주로 시라 품종과 블렌딩합니다. 블랙베리, 딸기, 복숭아잼, 계피, 담배의 캐릭터가 주로 느껴지며 강건한 스타일에 진득한 느낌을 줍니다.

 

 


 

메를로(Merlot)


원산지: 프랑스 보르도(Bordeaux)


까쇼와 함꼐 보르도의 대표적인 포도 품종으로, 우아하고 섬세한 와인, 달콤하고 높은 알코올과 과일향이 풍부한 와인을 선호하는 분들꼐 어울리는 와인입니다.

미디엄 바디급의 부드러운 레드와인을 만드는 보르도지방의 제 2품종으로 주로 카베르네 소비뇽과 블렌딩하며, 단 맛이 강해서 카베르네 소비뇽의 거친 맛을 부드럽게 해 줍니다.

카베르네 소비뇽과 메를로의 차이점을 정리하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카베르네 소비뇽: 당분 낮음, 타닌 높음, 알코올 낮음, 숙성 늦음, 늦게 수확, 자갈 토질
메를로: 당분 높음, 타닌 낮음, 알코올 높음, 숙성 빠름, 일찍 수확, 진흙 토질
위의 특징 때문에 두 포도를 블렌딩하면 서로 상호 보완해 주는 효과가 있어 더 조화로운 와인이 만들어집니다.

메를로는 과일향이 풍부하고 많이 숙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마실 수 있어 재배 면적이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세계 3대 명품 와인 중 하나의 '페트뤼스' 는 메를로 단일 품종으로 제조한 와인이며, 메를로로 양조한 대표적인 와인으로는 샤토 페트루스(Chateau Petrus)와 샤토 오존(Chateau Auzone) 등이 있습니다.

 


 

산지오베제(Sangiovese)


원산지: 이탈리아 토스카나(Toscana)


키안티와 브루넬로, 디몬탈치노 등의 레드와인을 생산하는 이탈리아 대표 품종입니다.

체리, 딸기와 허브향이 복합적으로 풍기며, 뒷맛의 여운이 길고 부드러우면서도 화려하여 매혹적인 맛을 냅니다.

산지오베제는 이탈리아의 대표 품종이자 토착품종이지만 최근에는 미국, 칠레, 호주 등 다양한 산지에서 재배되고 있으며 환경에 따라 변화가 뚜렷한 품종이라 각각의 기후와 토양의 조건에 따라 다른 특징을 지닙니다.

산지오베제는 드라이와인으로 생산되고 있으며 양조하여 숙성되면 검붉은 색과 산도가 높고 풍부한 과일향이 특징적인 와인이 됩니다. 시큼한 블랙베리, 라즈베리 향이 나며 허브향, 훈제향, 흙냄새, 감초 등 복합적이며 다양한 향을 가집니다.

오크통에 숙성시키면 좀 더 깊고 풍부한 맛을 얻을 수 있으며, 까베르네 소비뇽 등 타닌이 강한 품종과 블렌딩하면 타닌의 질감을 부드럽게 하는 역할을 합니다. 산도가 강하지만 음식과의 궁합이 좋은 와인입니다.



 

템프라니요(Tempranillo)


원산지: 스페인 리오하(Rioja)


스페인이 자랑하는 대표 품종으로, 블렌딩용으로 주로 사용되지만 단일 품종으로도 훌륭한 와인이 많이 생산됩니다.

버섯과 나무향을 풍기며, 당분 함량이 높고 산도가 낮으며, 원산지인 스페인 리오하는 '스페인의 보르도' 라는 별명이 붙은 최고의 와인생산지로, 이 지역의 포도는 대체로 품질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여 가격 대비 품질로는 세계 정상급 와인에 속합니다.

 

 

스페인 리오하 지도

 


 

피노 누아(Pinot Noir)


원산지: 프랑스 부르고뉴(Bourgogne)


'피노' 라고도 불리우는, 카베르네 소비뇽과 더불어 세계 2대 적포도 품종입니다.

진하지 않은 예쁜 빛깔을 지니고 있으며, 처음에는 과일향을 강하게 풍기지만 숙성시키면 재배한 토양에 따라 향이 제각각이며 그 향이 어떤 품종과도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고급스럽습니다.피노 누아는 민감하고 까다로운 성격을 지닌 품종입니다.

서늘한 지역에서 재배 가능하며, 껍질이 얇아 와인의 빛깔이 진하지 않고 예쁩니다. 타닌도 그리 많지 않아 깔끔한 맛을 갖고 있습니다. 또한 샴페인을 만들기도 하며, 우아하면서 화사한 맛을 냅니다.

일반적으로 까쇼처럼 타닌이 강한 와인을 선호하는 경우 피노 누아가 싱겁다고 느낄 수도 있지만, 섬세하고 우아하며 화사한 맛을 좋아하는 사람들에게 인기가 많은 품종입니다.

세계 3대 명품 와인 중 하나인 '로마네 콩띠' 가 바로 피노 누아로 생산되는 와인입니다. 부르고뉴 이외에도 미국 오레곤 주, 뉴질랜드 등의 산지에서 특징 있는 피노 누아 와인이 생산됩니다.

 


 

가메 (Gamay)


원산지: 프랑스 부르고뉴(Bourgogne)


보졸레 와인의 주 원료로 사용되는 품종으로, 진한 체리향과 자두향을 풍깁니다.

와인에서 화려한 꽃밭이 펼쳐진 듯 꽃향기가 난다면 바로 가메입니다. 과일향과 꽃향 등의 아로마가 특징이라 가벼운 음식과 잘 어울리며, 화이트 와인같은 레드 와인으로 가볍고 신선하며 발랄해서 즐거운 기분을 선사하는 품종입니다.

 

루비의 붉은 빛과 진한 담홍색 등 특유의 아름다운 빛깔로 유명합니다.

찬 바람과 습한 바람을 언덕들이 잘 막아 주어 온화한 기후인 부르고뉴 지방의 보졸레 지방에서 주로 재배되며, 화이트와인처럼 차갑게 마시는 이벤트 와인인 '보졸레 누보' 로 유명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