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트리아 알프스의 청량감을 담은 테멘토 그린(Temento Green 2021)

반응형

 

이번에는 처음 맛보는 국가로 오스트리아 와인 'TEMENTO GREEN 2021'으로 화이트 와인입니다.

 

이번 기회를 통해 알게되었지만,  오스트리아 슈타이어마르크는 상대적으로 덜 알려져있는 와인 산지로 와인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주목을 받고 있다고 하는데요.

 

슈타이어마르크 떼루아의 경우 급경사의 포도밭과 서늘한 기후이며, 화산암 토양이 포도에 많은 미네랄을 부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알프스 산맥의 영향으로 큰일교차가 발생하여 신선하고 아로마틱한 소비뇽블랑이 만들어지고 있다고 합니다.

 

그럼 오스트리아 남부 슈타이어마르크의 보석같은 와이너리, 테멘토의 시그니처 와인인 '테멘토 그린 2021'을 소개합니다.

 

 

특별한 날 즐기기 좋은 이 와인의 매력을 함께 살펴볼까요?

 

 

▪️ 기본 정보

생산국가: 오스트리아

생산지역: 슈타이어마르크

품종: 소비뇽 블랑

빈티지: 2021년

알코올: 12.5%

가격대: 3~4만원대

양조방식 : 스테인리스 탱크 발효

 

 

▪️ 테이스팅 노트

외관 : 투명한 연한 레몬색을 띠며, 잔에서 빛나는 은은한 초록빛 반사가 인상적입니다. 점성은 중간 정도로 잔에 흐르는 눈물이 우아합니다.

 

: 첫 향에서 신선한 라임과 자몽의 시트러스 향이 풍부하게 느껴집니다. 이어서 풋사과, 청포도의 과실향과 함께 잔디를 깎은 듯한 허브향이 은은하게 퍼집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미네랄리티가 더욱 두드러집니다.

 

: 신선한 산도가 입 안 가득 퍼지며 시작됩니다. 중간 바디감에 라임, 레몬의 상큼한 맛이 지배적이며, 미네랄의 터치가 깔끔한 뒷맛으로 이어집니다. 알코올감은 적절하며 밸런스가 훌륭합니다. 차가운 상태에서의 첫 입은 아주 산뜻하면서도 드라이하며 청량한 느낌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 음식 페어링

이번에는 화이트와인과 잘 어울리는 감바스와 샐러드를 준비했는데요.

테멘토의 레몬, 라임향과 감바스가 아주 조화로웠으며, 적당한 알콜감으로 입안이 개운했습니다.

역시 화이트와인이랑 새우나 샐러드는 정말 잘 어울리는 느낌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그 밖의 다른 페어링은 아래를 참고해 보세요.

(신선한 굴, 조개류, 샐러드, 치즈, 해산물 요리, 레몬 버터 소스의 생선구이 등)

 

 

 

▪️ 총평 (평점 : 90/100)

테멘토 그린 2021은 오스트리아 소비뇽 블랑의 진수를 보여주는 훌륭한 예시로,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오스트리아 와인의 진가를 엿볼 수 있었습니다.

뛰어난 밸런스와 신선함이 특징이며, 특히 미네랄리티와 과실향의 조화가 인상적이었고, 저렴한 가격대는 아니었지만 소비뇽블랑 품종 치고는 해당 가격대비 만족도가 높은 와인으로, 분위기 있는 식사 자리에 완벽한 동반자가 될 것입니다.

 

반응형

댓글()

가성비 甲! 일상 속 즐기기 좋은 프랑스 보르도 레드 'The Opening Bordeaux Rouge'

반응형

 

이번에는 프랑스 와인 'The Opening Bordeaux Rouge'으로 보르도 와인입니다.

 

이미 많이 알고 있겠지만, 프랑스 보르도는 전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와인 산지로 손꼽힙니다.

수백 년의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이곳에서는 메를로와 카베르네 소비뇽을 주 품종으로 한 우아하고 클래식한 와인들이 생산되고 있는데요.

 

오늘 소개해드릴 The Opening Bordeaux Rouge는 현대적인 감각으로 재해석한 보르도 와인으로, 전통적인 보르도의 매력은 살리면서도 편하게 즐길 수 있는 와인입니다.

 

 

적당한 가격에 즐기기 좋은 이 와인의 매력을 함께 살펴볼까요?

 

 

▪️ 기본 정보

생산국가: 프랑스 

생산지역: 보르도

품종: 메를로

빈티지: 2020년

알코올: 13%

가격대: 2만원대

★해당 와인은 프리즘(여행 관련 앱)에서 사전 예약을 통해 제공받은 것으로 가격 정보는 상이할 수 있음 ★

 

 

 

▪️ 테이스팅 노트

서울 워커힐 호텔에서 하루 호캉스를 보냈는데요. 사전 예약으로 서비스로 제공받은 와인을 직접 따서 서빙까지 받아 더욱 맛, 향이 기대되었는데요. 어땠는지 볼까요?

 

 

외관 : 진한 루비색을 띄며 잔에서 빛을 받으면 선명한 자주빛이며, 점성은 중간 정도로 잔을 돌렸을 때 아름다운 눈물자국을 남깁니다.

 

: 블랙베리, 카시스 같은 검은 과실향이 지배적이며, 은은한 바닐라와 시가박스의 향이 어우러집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가죽향과 후추 향이 살짝 올라와 클래식한 보르도의 매력을 보여줍니다.

 

: 부드러운 타닌과 적당한 산도가 균형을 이루며, 입안에서는 자두와 블랙베리의 과실 풍미가 도드라집니다. 미디엄 바디로 무겁지 않아 부담 없이 즐기기 좋습니다. 피니시에서는 은은한 스파이시함과 함께 달콤한 과실향이 여운을 남깁니다.

 

 

 

▪️ 음식 페어링

워커힐 서울은 양갈비, LA갈비, 등갈비 등 맛있는 육류가 많이 있었습니다. 미디엄 바디감의 보르도 와인과 육류 궁합은 아주 좋았습니다.

육류 외 피자, 파스타류도 맛이 있었는데 지금 보니까 또 가고 싶어지네요.

다음에 또 기회가 된다면 또 방문하고 싶은 곳입니다! 비스타 워커힐 서울 더뷔페 디너 강추!

 

그 밖의 다른 페어링은 아래를 참고해 보세요.

(스테이크, 양갈비 등 레드미트, 치즈 플래터 (특히 하드 치즈), 버섯 리조또, 비프 스튜, 다크 초콜릿 디저트 등)

 

 

 

▪️ 총평

우연히 만난 프랑스 보르도 와인이었는데요.

가격을 보면 2만원대 가격으로 만나볼 수 있는 클래식한 보르도 와인으로 생각됩니다. 실제 맛은 무겁지 않은 바디감과 균형 잡힌 맛으로 와인 입문자도 부담 없이 즐길 수 있으며, 데일리 와인으로도 제격입니다.

가격 대비 뛰어난 퀄리티를 보여주는 이 와인은 특별한 날 뿐만 아니라 일상 속 작은 휴식과 함께하기에 완벽한 선택이 될 것입니다.

 

 

 

반응형

댓글()

와인 온도의 비밀: 최적의 음용 온도로 와인을 더욱 맛있게 즐기는 법

반응형

 

와인과 온도는 아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사실! 아셨나요?

사실 와인을 어떤 온도에서 먹는가에 따라 그 맛은 다르며, 어떤 경우에는 제대로 된 맛을 못 느끼기도 하는데, 그래서 오늘은 와인별 최적의 온도가 어떤지 살펴볼까요?

 

 

와인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바로 '온도'

와인을 마실 때 가장 간과하기 쉽지만 매우 중요한 요소가 바로 '온도'입니다.

적절한 온도는 와인의 향과 맛을 완벽하게 끌어낼 수 있는 반면, 부적절한 온도는 와인의 특성을 가리거나 망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와인 종류별 최적의 음용 온도와 그 이유, 그리고 실제 적용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와인 온도가 중요한 이유

와인의 온도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 아로마 발현 : 온도가 높을수록 휘발성 향기 성분이 더 빨리 증발하여 향이 강해집니다.

- 알코올 감지 : 온도가 높으면 알코올 향이 더 강하게 느껴집니다.

- 타닌 느낌 : 레드와인의 경우, 차가울수록 타닌이 더 드라이하고 떫게 느껴집니다.

- 산도 인식 : 차가울수록 산도가 더 강하게 느껴집니다.



와인 종류별 최적 음용 온도  * 오늘의 Kick *


1. 스파클링 와인: 6 - 10℃
샴페인, 프로세코 등 스파클링 와인은 차갑게 마시는 것이 좋습니다.
낮은 온도는 기포를 오래 유지하고 청량감을 극대화합니다.
너무 차갑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지나치게 낮은 온도는 섬세한 향을 감출 수 있습니다.

2. 화이트 와인: 7 - 13℃ 
가벼운 화이트 와인 (피노 그리지오, 소비뇽 블랑): 8-10℃
풀바디 화이트 와인 (샤르도네): 10-13℃
산도와 과실향을 잘 살리기 위해 차갑게 서빙합니다.

3. 로제 와인: 6 - 8℃
화이트 와인과 비슷한 온도가 적합합니다.
차갑게 마시면 상쾌함과 과실향이 극대화됩니다.

4. 레드 와인: 13-18℃
라이트 바디 레드 (피노 누아): 13-16℃
미디엄-풀바디 레드 (까베르네 소비뇽, 시라): 16-18℃
너무 낮은 온도는 타닌을 과도하게 드라이하게 만들고, 향을 감출 수 있습니다.
실내 온도(20-22℃)는 대부분의 레드 와인에 너무 높으니, 적당한 온도를 유지하면서 드셔야 맛과 향이 극대회됩니다.

 

 

실용적인 온도 조절 팁 - 와인 냉각 방법

1. 와인 셀러(냉장고) 사용
- 화이트/로제: 식사 2-3시간 전 냉장 보관
- 레드: 식사 20-30분 전 냉장 보관


2. 아이스 버킷 사용- 와인:얼음(1:1 비율)

- 화이트/로제: 20-30분

- 레드: 10-15분

 

 

와인 온도 유지 방법

아무래도 정확한 온도 측정을 하며 식사하는 것은 매우 번거롭지만, 우리는 오픈 이후에도 맛있는 와인 맛과 향을 느껴야하지 않겠어요?

정확한 온도 측정을 위해 와인 온도계 사용을 추천드리며, 디지털 온도계가 가장 정확하고, 특히 더운 날씨에는 20분마다 와인 온도를 체크하시고, 와인 쿨러나 보온 슬리브를 사용하면 좋습니다.
참, 디켄팅한 레드 와인은 실내 온도에 빨리 도달하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오늘의 결론

와인과 온도의 관계에 대해 살펴봤는데요.

보시는 바와 같이, 완벽한 와인 경험을 위해서는 온도 관리가 필수적인 사실을 아셨나요?

각 와인의 특성을 최대한 살리기 위해 권장 온도를 참고하되, 개인의 취향에 따라 약간 의 조절도 가능하니, 와인을 즐기실 때 이번 게시물을 참고하시면 더욱 풍부한 와인 경험을 하 실 수 있을 것입니다.

 

 

P.S 저도 이번 기회에 와인과 온도 관계에 대해 조금 더 명확해 진 것 같은데, 종종 와인 관련 지식 정보도 올려보려고 합니다. 잘 알고 먹어야 맛있게 먹을 수 있겠죠?

반응형

댓글()